본문 바로가기

공부/PHP+MySQL3

DATABASE 2 - MySQL 1. Database file -> SpreadSheet -> Database 로 넘어가면서 데이터의 손쉬운 가공, 표,정렬,검색 등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게 됨 2. 목적 DB는 컴퓨터 언어(코딩)을 통해 데이터의 제어가 가능함 (cf. 스프레드시트) 따라서 DB의 정보를 전세계 누구나 열람이 가능하고 사용자가 작성한 글이 자동으로 DB에 저장 가능하다. 3. 설치 bitnami의 wamp 설치 4. 구조 표(table) 연관된 표를 Grouping 해서 연관되지 않은 표와 구분 --> Database (스키마)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모아서 Database server 5. 서버 접속 데이터 베이스는 1) 안전한 보안체계 2) 자체 권한 체계를 통해 사용자에게 차등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수 있음 처.. 2020. 3. 7.
DATABASE 1 1. CRUD Input-->(Create Update Delete) Output-->(Read) 이 두가지로 이루어짐 2. File vs Database 단순한 text File은 파일 내의 의미를 가진 내용을 활용할 수 없음 --> 이를 보완하기 위해 'SpeadSheet' 등장. 데이터의 가공이 더 쉬워짐 --> 컴퓨터 언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가공하고 자동화 할 수 있는 'Database' 3. 어떤 Database를 선택할 것인가? 'DB-Engines Ranking' 검색 Relational DBMS가 대부분을 차지, BUT Mongo DB처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것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므로 후에 학습해보는 것을 추천 Oracle --> 가격이 비싸서 기업이나 관공서에서 사용한다고 함.. 2020. 3. 7.
1. PHP 1. PHP의 필요성 웹 페이지가 많아질수록 웹 사이트의 규모가 커질수록 순수한 HTML만으로는 생산성의 한계를 맞게 됨 index.php 하나의 파일을 생성해두고 마지막 '?id=' 를 바꿔가며 여러개의 웹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음 2. PHP의 원리 웹 브라우저가 html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요청한다면 웹 서버의 htdocs 디렉토리에서 처리하여 브라우저에게 응답 하지만 웹 브라우저가 php 확장자를 가진 파일을 요청한다면 웹 서버는 자신이 처리할 수 없는 파일임을 인식하고 php 소프트웨어에게 파일을 처리하게 함. PHP 프로그램은 index.php 파일을 열어서 문법에 따라 html파일을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에게 전송. php는 동적으로 웹 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음 3. 문법 (1) 데이터 타입.. 2020. 2. 26.